2014. 1. 27. 05:31

소위 창조과학에 관하여

한국교회가 근본주의를 극복하려면 여러 가지 신학적(?) 편견들을 버려야 한다. 그 가운데 하나가 창조과학의 문제이다. 소위 창조과학이 뿌려놓은 여러 가지 사이비과학적 명제들이 수많은 교회지도자들과 신자들의 머리에 워낙 깊이 각인되어 있다. 그리하여 마치 창조과학을 부정하거나 비판하기라도 하면 창조신앙 자체를 부정하는 것으로 착각하고들 있다.


정말 창조과학을 부정하면 창조신앙을 부정하는 것인가? 


소위 창조과학은 진화론이 대두된 이래로 창조신앙을 표현하고자 하는 나름의 방식 가운데 그저 하나일 뿐이다. 이것이 엄연한 사실관계이다.


그 방식의 선의나 최선의 의도 자체야 이해할 만하다. 그러나 창조과학 신봉자들이 알아야 할 사실은 창조과학은 부정하거나 비판하는 것이 곧 창조과학이 주장하는 방식의 선의와 최선의 의도까지 거절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선의와 의도는 이해하겠지만 구체적인 방법은 보편적으로 인정될 수 없는 그들만의 리그에서 통할 법한 사고방식이라고 지적할 뿐이다. 


거꾸로 표현하자면, 창조과학은 보편적인 설득력을 얻지 못했다. 창조과학에 반대되는 증거와 현상들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는 분석틀을 제시하는 데 있어서 과학적 방법론과 학문적 정직성을 결여하고 있다는 비판을 듣는다. 쉽게 말해, 자기에게 유리해 보이는 얘기만 하고, 그와 다른 얘기를 용렬하게 단죄하고 진실에서 배제하는 아전인수격 태도를 취한다는 것이다.


창조과학이 윌리엄 페일리의 철지난 자연신학을 무비판적으로 되풀이하고 있다거나, 안식교를 포함한 미국 근본주의자들의 입을 거치면서 당치 않게 부풀려져 왔다는 태생적 한계에 대해서는 굳이 더 말할 나위가 없을 것이다. 


창조과학 추종자들이 보기에는 창조와 진화가 도무지 양립할 수 없겠지만, 진화는 하나님의 창조를 설명하는 한 가지 방식일 수 있다. 하나님이 어째서 진화의 방식으로 일하실 자유가 없는가?


이렇게 말하면 성경을 부인하는 것인가? 창세기 1장의 창조신학이 도대체 어떤 역사적 배경에서 나온 것인지부터 똑바로 이해해야 한다. 하늘에서 하나님의 영감이 번뜩이며 번개처럼 뚝 떨어져서 창세기 1장이 나왔다는 식의 근본주의 신화로는 본문을 오해할 수밖에 없다. 


성경은 자연과학 교과서가 아니다. 창세기 1장은 자연과학을 계시한 말씀이 아니다. 당대 바빌로니아의 지배적인 과학적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면서 야웨신앙을 고백하는 것이 창세기 1장이다. 따라서 창세기 1장의 창조신앙은 문자 자체가 아니라 행간의 여백에, 즉 수용결과가 아니라 수용과정에 있다. '무엇'이라는 문자적 차원이 아니라, '어떻게'라는 신앙의 역동성에 창조신앙의 본질이 있다.


그래도 하나님이 진화의 방식으로 일하실 자유가 있다고 성경 어디에 나와 있는가? "오직 성경으로만" 판단할 때, "성경에 없으니까" 하나님은 진화의 방식으로는 결코 일하지 않으시는 게 아닐까? 그러나 그런 생각은 근본주의자들이 읽은 대로의 성경에 없을 뿐이다.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는 창세기 1장에도 진화적 요소가 담겨 있음을 예리하게 지적한 바 있다. 이를테면, 땅이 생명체들을 생산하도록 하나님께서 명령하셨다고 기록되어 있은가? 땅에서 생명의 요소가 나타나도록 하는 생명의 진화를 명령하신 것이다. (물론 근본주의자들은 이런 해석에 동의하고 싶지 않겠지만!)


하나님은 창조를 통하여 일하신 것처럼 진화를 통해서도 일하실 수 있다. 진화는 하나님의 계속적 창조(creatio continua) 과정이다.(위르겐 몰트만) 다윈 이래 진화론은 하나님의 창조사역을 설명하는 유용한 도구로 얼마든지 이해될 수 있다.(알리스터 맥그라스) 


근본주의자들은 창조사역에서 하나님의 자유를 제한하지 말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