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 2. 28. 02:02

칼 바르트와 좌파

칼 바르트는 20세기 이후 현대신학의 교부로 자리매김되었다. 바르트가 제기한 문제, 그리고 그의 신학정신을 이어받은 신학적 후예들이 제기한 문제들은 현대신학의 화두를 규정하고 있다고 해도 그리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런 상황에서 바르트의 신학에 대해 반응하는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하나는 바르트의 신학적 위대함을 인정하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바르트가 이렇게든 저렇게든 형편없다고 폄훼하는 것이다. 후자의 방식은 신학적 근본주의 진영의 전형적인 태도이다. 국내에서 근본주의의 영향력이 워낙 큰 만큼 이 태도가 단호하고 고결한 것처럼 그럴싸하게 먹혀 들어갈 수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결국 이는 세계신학의 흐름과 동떨어져 있는 그들만의 리그에서 통할 수 있는 태도다.

반면, 정치적 근본주의 진영의 태도는 좀더 교묘하다. 
예컨대, 지난 번 무상급식 논쟁 때 나타났듯이 자신들의 수구적 정치노선을 지지하는 전거로서 어처구니 없게도 칼 바르트를 들먹인 목사들이 있다. 그들은 바르트의 신학적 위대함을 일단 인정한다. 그러나 그들은 자신들의 정치신학적 입장, 즉 어용적이고 반공적이고 친기득권적인 우파 노선을 선전하는데 바르트를 들먹인다. 문맥과 상관없이 제멋대로 갖다 붙이기 할 뿐 아니라, 바르트가 좌파 자유주의 신학이 지배했던 시대에 우파 복음주의로 전향해서 궤멸시켰다는 식의 논조를 들을 수 있다.

여기서 분명히 짚어 두어야 할 사실관계가 있다.

첫째, 칼 바르트는 사회민주주의 성향의 좌파적 정치성향을 여러 차례 분명히 표현했다. 그러니까 반공주의 기독교의 시각에서 볼 때 칼 바르트는 빨갱이목사였던 거다! 수구목사들이여, 차라리 칼 바르트가 빨갱이라며 참소하시라. 

둘째, 수구목사들은 정치적 좌파와 소위 신학적 '좌파'를 혼동하고 있다. 바르트 이전 자유주의 신학은 정치적 좌파와 우파 모두에 걸쳐 있었다. 독일의 전쟁선언을 지지한 친기득권적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과오를 저질렀지만, 영향력에 있어서 그들에 결코 못하지 않았던 19세기 영국성공회의 위대한 광교회주의자 프레드릭 모리스나 유럽대륙의 종교사회주의자들은 소위 자유주의 신학의 영향권 안에 있었지만 정치적, 사회적으로 좌파였다.

소위 복음주의 신학은 어떤가?

우리나라에서 그야말로 한줌에 지나지 않는 소수의 이른바 '좌파' 복음주의자들 외에 수구적인 친기득권성향의 '복음주의자'들이 대부분이 아닌가? 
우리나라 복음주의자들이 오매불망 사모하는 미국 복음주의도 사정은 그렇게 나을 것이 없는 것이 현실 아니던가?

그러나 복음을 들먹이면서도 수구적 기득권을 결사옹위하는 이들의 진면목은 정치적 근본주의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점은 바로 이들 정치적 근본주의자들이야말로 히틀러와 같은 자가 나타났을 때 저 독일 그리스도인 교단(Die Deutsche Christen)이 그렇게 했듯이, 박정희, 전두환 때 그랬듯이 '우리 민족을 위한 메시아'라면서 두 손 들고 아멘을 부르짖으며 영접할 자가 될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