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 8. 3. 08:47

설국열차 세계일주 하듯

영화 『설국열차』는 『괴물』을 제작했던 감독의 작품답게 좁게는 한반도의 현실에 대한, 넓게는 세계 자본주의 체제의 현실에 대한 정치적 우화로 읽혔다.


기차가 1년마다 세계를 일주한다는 설정은 내러티브 안에서 몇 가지 구체적인 뜻으로 드러난다. 


외부세계로부터의 위기는 기득권자들과 피억압계층 사이의 모든 갈등을 정지상태로 만들 수 있다.

- 외부세계로의 이탈실패 사례는 현 체재를 공고하게 하는 이념적 교육자료가 된다.

등등.


결국 이야기속 세계의 갈등은 기존세계의 '냉전적' 틀을 깨뜨리는 것으로 해소된다.


이 갈등해소과정에서 두 분의 한국배우가 영화의 메시아적 중심에 위치한다. 요나라는 딸의 이름, 보안책임자 부녀가 냉동창고 같은 감옥에 갇혀 있다는 설정은 성경에서 끌어온 내러티브적 장치로서, 이들 부녀의 캐릭터와 메시아적 역할을 암시한다. 이들은 기존세계와 자신들의 운명에서 도피해 있는 것처럼 같았지만, 결국 설국열차 안의 다른 누구도 보지 못했던 것을 보고 새로운 미래의 도래를 예고하고, 앞당긴다.


보안책임자 부녀가 기존세계의 틀을 깨뜨릴 수 있었던 계기는 결국 기존세계의 틀 안에 매몰되어 있지 않고 부단히 외부세계 내지 환경의 변화를 주목하고 관찰할 수 있었던 "예언자적 상상력"에서 비롯되었다.


요즘 한반도의 현실이 마치 설국열차 세계일주 하듯 답답하다. 대체 60년대로 돌아간 것 같은 퇴행적인 현상들이 곳곳에서 일어나고 있다. 이 현상들의 본질적인 문제는 결국 "설국열차" 자체로 귀결된다.


어떻게 하면 타개할 수 있을까? 영화가 현실에 대해 던져주는 메시지는 기존 틀에 갇혀 있어서는 희망이 없다는 것, 기존 틀을 과감하게 깨기 위해 외부세계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게 쉽지 않다. 영화가 알레고리적으로 그려준 그대로, 자기들이 '권리'로서 누려온 것을 놓지 않으려는 자들과 시민으로서 마땅한 '권리'를 회복하기 위해 투쟁하는 자들이 맞서기 때문이고, 그 적대적 공존관계가 시스템 자체의 "균형"을 맞추는 데 이바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지는 "균형"은 그 나름 상당히 안정적으로 작동해 온 폐쇄적인 생활환경이 되어왔으며, 이것이 우리 사회의 생존을 위한 한계를 규정짓다시피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또 바로 그렇기 때문에 기존 틀을 과감하게 깨는 용기와 과단성이 필요할 것이다. 이것은 탁상공론의 단계에 머물러서는 가능하지 않다.


그러면 한국교회는?


한국교회에는 세 가지 가능성이 존재한다. 

- 기존세계의 틀에 순응하고 종속되어 기득권자들을 대변하는 이념의 대변자

- 기존세계의 틀에 저항해서 자신이 가진 것을 잘라내어주기까지 하는 약자들의 대변자

- 외부세계의 변화를 주목하고 알리는 예언자


이 세 가지 가능성은 영화 속에서는 서로 극명하게 갈리는 세 부류의 인물들로 나타날 수 있었지만, 현실에서는 결국 느슨하게 적용될 수밖에 없는 유형들이다. 한국교회가 걸어온 길은 세 가지 가능성 모두에 걸쳐 있어왔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과연 한국교회는 어느 가능성을 더 많이 선택해 왔는가? 

반공이데올로기와 성장신화로 대표되는 기득권적 이념의 대변자 노릇을 하는 데 만족해 온 것은 아닌가?


부디, 앞으로는 한국교회가 요나의 기적 외엔 보여줄 게 없다고 하셨던 그분의 뒤를 따르게 되기를! 


칼 바르트가 갈파했던 대로, 교회의 정체성은 교회 자신이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로부터만 나와야 하겠기 때문에...